치의학

치아 외상에 대하여

치아이야기 2023. 4. 26. 20:56

치아 외상은 치아, 잇몸 또는 입 안의 다른 구조에 영향을 미치는 모든 손상을 말합니다. 인체 조직 중 제일 단단한 치아는 다른 인체의 연조직과는 다르게 손상이 일어나면 저절로 치유되지 않습니다. 만 6세부터 구강 내로 맹출 되는 영구치는 평생을 사용해야 하기에 더욱더 주위가 요구됩니다. 치아는 사용됨에 따라 조금씩 금이 가지만 이렇게 금이 간 치아를 다 치료하는 것은 아니고 증상이 있을 때 치료에 들어가게 됩니다. 이렇게 식습관에 의해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금(crack)과는 달리 강한 외부 자극에 의해 생기는 손상을 치아 외상이라고 합니다. 치과 외상의 일반적인 원인으로는 사고, 스포츠 상해, 낙상, 싸움 등이 있습니다. 치아 외상 치료는 환자의 연령과 전체적인 건강뿐만 아니라 부상의 중증도와 외상의 위치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치과 외상의 일반적인 유형과 그 치료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골절(Fractures): 치아 외상의 가장 일반적인 유형은 치아의 골절입니다. 치아에 직접적인 타격이 있거나 딱딱한 것을 씹어서 골절될 수 있습니다. 골절된 치아의 치료는 골절의 중증도에 따라 달라집니다. 치관부위의 작은 골절은 복합레진으로 복구할 수 있지만, 더 심각한 골절은 크라운이나 치아 발치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반면에 치근부위의 골절은 신경치료 후 지켜볼 수 있지만 대부분 발치를 해야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변위(Displacement): 변위: 변위는 치아가 제자리에서 밀려났을 때 또는 다른 방향으로 이동했을 때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것은 영구치와 유치 모두에서 일어날 수 있습니다. 치아가 약간 어긋나기만 하면 치과의사는 치아를 재위치 시킬 수 있습니다. 그러나 변위가 심한 경우는 근관 치료나 발거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치아완전탈구(Avulsion): 치아완전탈구는 외상이나 부상으로 치아가 턱뼈에서 완전히 빠진 것을 말한다. 치아완전탈구는 심각한 치과 외상의 형태로 간주되어 치과의사의 신속한 조치가 필요합니다. 유치는 유치(젖니)와 영구치 모두에서 발생할 수 있습니다. 치아완전탈구의 가장 일반적인 원인은 특히 스포츠 활동이나 사고 시 얼굴에 타격입니다. 낙상이나 기타 사고에 의해서도 입에 강한 충격을 줄 수 있고 이로 인해 치아가 빠질 수 있습니다. 치아가 완전히 탈구됐을 때는 즉시 치아 관리를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탈구된 치아 재식립이 빠르면 빠를수록 치아가 생존할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그동안 치아를 보존하는 데 도움이 되는 몇 가지 예방책을 취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탈구된 치아를 다룰 때는 치관(상부)을 신중하게 다루고 뿌리(하부)에 손이 닿지 않도록 해야 합니다. 그다음치아를 물 또는 우유로 가볍게 헹구어 오염이나 파편을 제거하되, 치아를 문지르거나 비누나 화학약품을 사용하지 말아야 합니다. 가능하면 치아를 발치와에 다시 넣거나 우유나 침이 담긴 용기에 보관해야 합니다. 치아를 잘 보관한 후 최대한 빨리 치과에 내원해야 합니다. 치과의사는 발치 와를 신중하게 검사하여 치아를 재식재할 수 있는지 여부를 판단합니다. 발치와는 신중하게 세척하고 손상된 조직이나 뼈는 모두 치료합니다. 그 후 치아는 다시 삽입되어 일정 기간 부목으로 안정을 유지해야 치유가 가능합니다. 치과의사는 또한 감염을 예방하기 위해 항생제를 처방하고 통증을 관리하기 위해 진통제를 권장할 수 있습니다. 치아를 재식립 할 수 없는 경우, 다른 옵션으로 치과 임플란트, 브릿지 또는 부분 틀니를 선택할 수 있다. 올바른 구강위생과 후속관리를 위해 치과의사의 지시에 따라 최선의 결과를 얻는 것이 중요합니다. 탈구(Luxation): 탈구란 외상이나 부상으로 치아가 치조골 내 정상 위치에서 어긋나는 것을 말합니다. 이로 인해 치아가 소켓(socket)에서 정출 되거나 함입이 될 수 있고 소켓에서 부분적으로 분리될 수 있습니다. 탈구 손상은 치아 외상의 일반적인 형태이며, 특히 어린이와 젊은 성인 사이에서 주로 발생합니다. 탈구는 다시 다음과 같이 분류됩니다. 치아 진탕(Concussion): 치아 진탕은 치아가 소켓 내로 함입되지만 치아 주위 구조는 손상되지 않는 것을 말합니다. 아탈구(Subluxation): 치아가 소켓 내에서 느슨하지만 완전히 빠지지 않은 상태를 말합니다. 정출성 탈구(Extrusive luxation): 치아는 부분적으로 소켓에서 빠져 있지만 잇몸 조직에 부착되어 있는 상태를 말합니다. 외측 탈구(Lateral luxation): 치아가 부분적 또는 완전히 횡방향으로 변위 된 상태를 말합니다. 함입성 탈구(Intursive luxation): 치아가 주변 치주조직의 합임을 동반해서 소켓 안으로 들어가는 상태를 말합니다. 탈구의 증상에는 통증, 붓기, 출혈, 저작 및 씹기의 어려움이 포함될 수 있습니다. 경우에 따라서는 치아가 눈에 띄게 어긋나거나 구부러져 있는 것처럼 보일 수 있습니다. 더 이상의 손상을 막고 치아를 보존하기 위해서는 조속한 치료가 필요합니다. 탈구 손상 치료에는 치아를 원래 위치로 되돌리고, 와이어로 안정화하여 감염 징후 또는 추가 손상을 추적 조사하는 것이 포함됩니다. 더 심각한 경우 치아는 발치 또는 치과 임플란트로 대체해야 합니다. 예방은 치아 외상의 위험을 줄이기 위해서도 중요합니다. 여기에는 스포츠 활동 중 보호구 착용, 운전 중 안전벨트 착용, 사고나 전도 위험을 줄이기 위한 기타 조치가 포함됩니다. 정기적인 치과 검진은 심각해지기 전에 잠재적인 문제를 발견하는 데도 도움이 됩니다.